공군 ‘쌍매훈련’ 28일까지 전개
F-35A·F-22·F-16 등 투입
적 항공전력 무력화 연합작전 수행
공군17전투비행단 F-35A 전투기가 26일 쌍매훈련의 하나로 이뤄진 한미 연합공중훈련을 위해 이륙하고 있다. 이날 훈련에는 F-35A와 19전투비행단 (K)F-16, 미 공군 F-22, F-16 등 한미 공군 전투기 30여 대가 투입됐다. 공군 제공 |
|
오산기지에서 이륙한 미 공군 F-22 전투기. |
|
공군 F-35A 프리덤나이트와 미 공군 F-22 랩터 등 한미 공군 5세대 스텔스 전투기들이 한 팀이 돼 공중에서 적 항공전력을 무력화하는 훈련을 했다. 훈련에는 양국 4세대 전투기 (K)F-16도 투입, 한미 4·5세대 전투기의 연합작전 수행 능력을 끌어 올렸다.
공군은 26일 “미 공군 F-22와 연합공중훈련을 펼쳤다”며 “훈련은 지난 24일부터 오는 28일까지 청주·충주기지에서 이뤄지는 대대급 연합공중훈련 ‘쌍매훈련(Buddy Squadron)’의 하나로 전개됐다”고 밝혔다.
훈련에는 우리 공군 F-35A와 (K)F-16, 미 공군 F-22, F-16 등 4·5세대 전투기 30여 대가 참가했다. F-22가 우리 공군 전투기와 함께 훈련하는 것은 지난달 16일 이후 42일 만이다.
한미 전투기들은 이날 동부지역 상공에서 항공차단작전(AI·Air Interdiction)을 함께하며 합을 맞췄다. AI는 적 군사력이 아군에게 피해를 주기 전에 이를 지연·무력화하는 작전이다.
한미 공군은 가상 적기를 운영해 실전과 같은 임무 환경을 조성, 훈련 성과를 높였다. 가상 적기 역할은 우리 공군 KF-16과 미 공군 F-16이 수행했다.
또 연합편대군을 이뤄 작전·임무 절차를 숙달하고 4·5세대 간 전투기들의 연합작전 수행능력을 향상했다. 훈련 후 한미 조종사들은 전술토의를 하며 훈련 성과를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토의했다.